1. 고기와 생선
아기를 데리고 PMI에 9개월 정기검진을 갔습니다.
(참고: PMI는 프랑스에서 자라는 만 6세까지의 모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국립기관이에요. 육아전문가(puericultrice)와 소아과의사가 상주하기 때문에 육아에 대한 조언을 구할 수도 있고,
영유아의 정기검진과 백신접종을 무료로 해줍니다. 저도 첫애 낳고는 시어머님의 안내에 따라 착실하게 PMI의 조언을
따랐지요마는...)
육아전문가가 이유식을 잘 하는지 물어보더군요.
'너무 잘 먹어 탈이다'이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불어로 그대로 직역했다가는 정말로 배탈이 나는 줄 알겠지요? 쿄쿄쿄~
'잘 먹는다'했더니 생각했던대로 '고기와 생선도 먹이기 시작했냐?'고 물어요.
이차저차 길게 얘기하기 싫어 한 마디로 '난 채식주의라서 고기 안 먹인다'고 잘라말했어요.
(제가 채식주의자라고 했다가는 진짜 비건들한테서 돌 날라올텐데.. ㅎㅎ)
2. 유제품
수유를 한다고 했고, 분유는 먹이지 않는다고 했더니 생각대로 '그럼 유제품은 잘 먹이느냐?'고 묻더군요.
'이유식을 시작했으니 수유로 채워지는 우유(젖)의 양이 부족하다'며 '야쿠르트와 치즈를 매끼니마다 주냐'고 물어요.
'아기가 야쿠르트의 찬 질감을 싫어하는 것 같아서 안 준다, 치즈가루는 음식에 넣어 가끔 준다'고 했더니
'유제품을 더 자주, 매 끼니마다 주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댑따 "왜요? 왜 유제품을 꼭 줘야합니까?"하고 물었죠.
생각대로 '단백질과 칼슘 섭취를 위해서'라더라구요.
생후 1년동안 아이는 생애 최고로 많이 크는데, 그때 먹는 모유 안에는 단백질이 고작 7% 밖에 들어있지 않아요.
'이것보세요. 아기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의 양은 고기나 유제품을 먹어야할 정도로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아요' 했더니
'유제품은 지방 섭취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을 바꿔(?)요.
그래서 '지방 섭취는 종실류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고 답했어요.
육아전문가가 아기의 체중과 몸무게, 머리둘레를 재고난 후,
소아과의사를 보러 진찰실로 들어갔습니다.
고기, 생선, 유제품에 대해서 다시 한번 같은 소리를 또 들었지요. (아... 피곤해.. ㅠㅠ)
1. 다시 고기와 생선
소아과의사가, "아이들이 나중에 모든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하려면 지금부터 모든 음식을 골고루 먹여야한다. 고기와 생선을 포함해서"
제가 그래서 답했죠. "아이들에게 고기와 소세지를 먹게 하는건 하나도 어렵지 않다. 반대로, 아이들은 야채를 잘 먹지 않기 때문에 아기 때부터 다양한 야채를 자주 접하게 해 야채의 맛을 발견하도록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도 -아직은- 채식주의로 가는 과도기라서 생선과 닭을 먹지만 아기에게 생선과 닭이 영양상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누가 뭐래도 적~~~~어도 돌까지는 먹이지 않을 생각입니다.
2. 다시 유제품
뭐 그렇게 넘어가고.. 유제품에 대해서 소아과의사가 육아전문가와 또 같은 소리를 하길래
"내가 고국에 살던 30년 동안 유제품을 먹지않고 컸지만 건강에 아무 이상이 없었다."
이렇게 해서 또 그렁그렁 넘어가고... 드디어 또(!) 피해갈 수 없는 질문...
'백신(!)'에 대한 얘기가 나왔습니다.
3. 백신
"Prevenar를 이번에도 안 맞추겠냐?"고 물어요.
prevenar가 급성중이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백신이라면서 의사가 지난 번 진찰에도 권했더랬지요.
하지만 저희 큰애는 prevenar 3회 접종을 다 맞고도 지난 겨울에 급성중이염으로 고막이 터졌다가 회복하느라 여러 달 -최소 6개월- 진땀 뺐거든요. 작은애는 재고할 여지도 없이 안 맞추겠다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생후 1개월에도 물었던 "BCG접종은?" 다시 물어요.
아니, 의무접종에서 삭제된 백신을 접종하려고 안달이 난 이유가 대체 뭔지 모르겠어요.
'백신 재고처분해야되나부지???'하는 속마음은 두고 역시 고개를 저었습니다.
저희 신랑은 BCG접종을 아무리해도 BCG 항체가 안 생겼던 지라 소아과의사와의 대화를 얘기해줬더니 피식~ 웃더라구요.
4. 먹는 불소
아이 이빨이 6개나 났으니 먹는 불소를 처방해주더군요. 생후 6개월부터 만 2세까지 먹이는거래요.
큰애 때는 저도 잘 몰라서 백신도 열심히 다 맞추고, 먹는 불소도 하루도 안 빠띄고 열심히 줬더랬지요.
"불소를 먹으면 몸에 안 좋지 않나요?"했더니 의사 왈, "그러면 안 주셔도 돼요."
아니 그렇게 대답할 껄 왜 처방전을 써주고 그러지? 켁~ >.<
의무적인 정기검진이니 의사를 안 볼 수는 없어서 보러갔는데 자리가 참 불편했어요.
진찰받으러 가서 전문가들하고 맞짱뜨는걸 보면 확실히 첫애 낳고 어리버리했던 경험없는 엄마였을 때에 비해 내공이 많이 늘었네요.
'Parents 교육/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과 프랑스, 학교에서 가르치는게 다르다 (22) | 2011.05.12 |
---|---|
13세 패륜아에 대한 다른 시각 (5) | 2010.10.22 |
패스트푸드점은 XL메뉴를 없애라! (0) | 2010.06.09 |